자유게시판
- “전세계 수목 종 1/3 멸종위기, 글로벌 시드볼트 통한 중복 보전 중요” 산림청이 주최하고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과 국립수목원이 공동주관한 국제심포지엄이 개최됐다. (사진=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기후위기 대응 및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서는 종자...
-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부여 석성동헌 탱자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 전경(사진=국가유산청 제공) [환경과조경 정승환 기자] 군산 팽나무와 부여의 탱자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은 오랫동안 마을과 관아에서 지...
- 폭우로 부러진 국내 최고령 ‘오리나무’ 복원한다 천연기념물 제555호, 오리나무 조직 채취해 조직배양 시작 지난 폭우에 부러진 포천 초과리 천연기념물 오리나무 피해 사진(사진=경기도 제공) [환경과조경 정승환 기자] 올해 폭우로 부러진 천연기념물 ‘오리나무’가 복원될 예정이다. 경기도산림환...
- 산꼬리풀의 재발견!… “유채꽃보다 꿀 생산량 2배 많아” 산꼬리풀 (사진=국립산림과학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산꼬리풀이 대표적인 꿀샘식물인 유채보다도 꿀 생산량이 2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조경식물과 약...
- 솎아베기 적정 시기, 진단카드로 간편하게 판정한다 임분밀도진단카드 (사진=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나무 간 생육공간을 만들어 나무의 건강한 생장을 돕는 솎아베기 적정 시기를 진단카드로 간편하게 판정할 수...
- 희귀식물 개가시나무, 자생지 곶자왈 품으로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제주곶자왈도립공원에 이식한 개가시나무 치수 (사진=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소속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
- 자연식물원 안내판 자연식물원 안내 지도입니다 즐거운 관람되세요!
- 영축산 구상나무, 스트레스 증가로 개체수·크기 감소했다 2014년 6월(왼쪽)과 2024년 4월 비교 사진. 흉고직경은 14㎝에서 14㎝로 변화가 없었고, 수관 넓이는 15.9㎡에서 9.1㎡로 감소했다. (사진=국립수목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경남 양산시 영축산...
- 계절 따라 색 변하는 다육식물 ‘세덤’…“신기하네” 경기도농업기술원이 개발한 세덤 그린루이(좌)와 초코루이(사진=경기도농업기술원 제공) [환경과조경 정승환 기자] 경기도농업기술원은 다육식물 중 세덤 신품종 ‘그린루이’, ‘초코루이’를 개발해 ...
- 한라산 봄의 전령 300살 ‘최고령 목련’ 만개 한라산에 만개한 300살 최고령 목련 (사진=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제주 한라산에서만 자생하는 국내 최고령 목련이 만개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