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소귀나무·붉가시나무, 유전다양성 분석으로 보전 기준 마련
국립산림과학원, 제주 지역 산림생물 다양성 증진을 위한 과학적 기준 제시 소귀나무 결실 (사진=산림청 제공) [환경과조경 김하현 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제주 서귀포 지역에 자생하는 소귀나무...
자연식물원2025/04/02
-
산림청, 도시숲으로 호흡기 질환 주범 미세먼지 잡는다
미세먼지 저감 위한 도시숲 확대… 2027년까지 1인당 15㎡ 목표 울산 북구 미포국가산단 기후대응도시숲 (사진=산림청 제공) [환경과조경 김하현 기자] 산림청이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2027년까지 1인당 ...
자연식물원2025/03/26
-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작은키 나무 5종’ 국가고유계수 등록
사철나무·조팝나무 등…도시숲·정원 탄소저장량 최대 11%이상 높아 작은키나무 5종.(위·왼쪽부터 시계방향)산철쭉, 조팝나무, 사철나무, 화살나무, 회양목(사진=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제공) [환경과조경 정승환...
자연식물원2025/03/19
-
봄 정원에 우아함 선사하는 ‘금낭화’…국립수목원, 3월 정원식물 선정
3월 반그늘에 심으면 5월에 개화, 관리 쉬운 식물 금낭화 꽃(사진=국립수목원 제공) [환경과조경 정승환 기자]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3월 ‘우리의 정원식물’로 ‘금낭화(Lamprocapnos spectab...
자연식물원2025/03/12
-
혹한 속에서도 피어나는 생명의 지혜, 만병초의 겨울나기
백두대간 고산식물의 월동 과정, 잎의 쳐짐과 말림으로 드러난 생존 전략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내 만병초 개화 (사진=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제공)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만병초의 겨울철 잎 움직임이 극...
자연식물원2025/03/05
-
완도군,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대응 위해 도시숲 9곳 조성
경관숲·학교숲 등에 총 23억 투입 완도군 원동지구 도시숲(사진=완도군청 제공) [환경과조경 김하현 기자] 완도군이 우수한 산림 경관을 활용한 도시숲 조성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정주 환경과 ...
자연식물원2025/02/26
-
한수정, 도시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생식물 6종’ 소개
검정개관중·두메부추 등…가뭄, 제설재 피해 강해 실내 주거환경 적응이 우수한 자생식물 검정개관중(사진=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제공) [환경과조경 정승환 기자] 9일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자연식물원2024/12/18
-
호랑가시나무, 12월 겨울 정원을 빛내는 붉은 보석으로 주목
국립수목원, 자생식물 연구 통한 우수한 정원 소재 발굴 우리의 정원식물, 12월은 겨울 정원의 붉은 보석 ‘호랑가시나무’ 열매 (사진=국립수목원 제공) [환경과조경 임정우 기자] 산림청 국립수목...
자연식물원2024/12/17
-
늦가을 정원의 매력, 11월의 식물로 ‘털머위’ 선정
국립수목원, 자생식물 발굴 및 정원 활용 가치 제안 11월의 식물로 선정된 털머위 (사진=국립수목원 제공) [환경과조경 임정우 기자]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11월의 정원식물로 ‘털머위’를 선정했다고 26일 ...
자연식물원2024/11/27
-
노랑꽃창포, 당뇨 환자들에게 새 희망 제시하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당뇨 개선용 조성물 특허 출원… 포도당 흡수 촉진 효과 입증 노랑꽃창포(사진= 환경청 제공) [환경과조경 임정우 기자] 당뇨환자들을 위한 희소식이 국립낙동강생물자...
자연식물원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