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에 자주 잠기는 화단에 어떤 식물 심을까?
농촌진흥청, 침수에 강한 35종 실험결과 발표 [환경과조경 박광윤 기자] 최근 갑작스런 비가 종종 내린다. 기후변화 영향이란다. 잦은 비로 자주 물에 잠기는 도심 길가에는 어떤 식물을 심어야 할까? 농...
자연식물원2023/07/21
-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인제 한계산성 등 장마에 국가유산 10건 피해
사적·천연기념물 등 곳곳 피해… 문화재청, 긴급 보수비 지원 예정 천연기념물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피해 현황 (사진=문화재청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최근 장마로 강원 원주 반계리 은행...
자연식물원2023/07/14
-
이끼 정원, 탄소흡수 얼마나 할까?
부천시, 탄소흡수원 ‘이끼 생태정원’ 조성 탄소흡수원(사진 = 부천시 제공) [환경과조경 박광윤 기자] 부천시가 탄소흡수원으로 ‘이끼 생태정원’을 조성했다. 부천시는 지난 22일 부천중앙공원에 탄소흡수...
자연식물원2023/07/07
-
제주 멸종위기야생식물 죽절초·석곡·비자란 자생지 복원 추진
한라산연구부, 서홍동시험림 내 800본 식재 죽철초, 석곡, 비자란 (사진=제주도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제주도 세계유산본부가 멸종위기 야생식물인 죽절초와 석곡, 비자란의 자생지를 복원한다....
자연식물원2023/06/30
-
백두대간수목원 시드볼트에 ‘카자흐스탄 종자’ 79종 영구저장
책임기관 지정 후 해외 야생식물 종자 첫 저장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 위치한 시드볼트 전경 (사진=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카자흐스탄의 야생식물 79종이 국가 종자저장시설인...
자연식물원2023/06/23
-
익산 어디서든 즐길 ‘녹색공간’ 확 늘린다
용안생태습지 지방정원 등록 시동, 서동농촌테마공원 생태관광 메카 도약 익산 치유의숲 조감도 (사진=익산시 제공) [환경과조경 박형석 기자] 익산시가 지역 어디서든 즐길 수 있는 녹색공간을 대폭 확대...
자연식물원2023/06/14
-
“돌발 산림해충, 부화시기 정확히 예측해 적기 방제한다”
국립산림과학원 , 정확도 높은 돌발 산림해충 부화시기 예측모형 개발 매미나방 성충 (사진=국립산림과학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최근 산림과 생활권에서 대발생해 큰...
자연식물원2023/06/02
-
수원수목원에 희귀식물 ‘해오라비난초’ 현지외 보전원 탄생
국립수목원·수원수목원, 공동연구 사업 진행 희귀식물 해오라비난초 (사진=국립수목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수원수목원이 해오라비난초를 함께 심어 희귀식물 ‘해오라비난...
자연식물원2023/05/26
-
“꿀벌 집단폐사 막으려면 여의도 1000배 꽃·나무밭 필요”
그린피스·안동대학교, ‘벌의 위기와 보호정책 제안’ 보고서 발표 벌의 꽃가루 섭취량 증가에 따라 수명은 최대 2배까지 차이가 난다. 하지만 벌의 먹이가 되는 꽃과 나무인 밀원식물의 면적은 급격히 줄어들고 있...
자연식물원2023/05/19
-
“칠엽수 밀원수로 제격”… 꿀 생산량, 아까시나무보다 1.7배 높아
국립산림과학원, 칠엽수 한 그루서 806g 꿀 생산 가능 칠엽수 꽃에서 꿀을 모으고 있는 꿀벌 (사진=국립산림과학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세계 4대 가로수 ‘칠엽수(1㏊)’의 꿀 생산량이 아까시...
자연식물원2023/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