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솔잎보다 작은 희귀 ‘아기쌍잎난초’ 군락지 발견
제주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한남시험림서 100여 개체 확인 제주 한남연구시험림에서 확인된 아기쌍잎난초 (사진=국립산림과학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국내 난초 가운데 가장 작은 크기...
자연식물원2022/05/27
-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기생천적 2종… 실내사육 성공
국립수목원, ‘가시고치벌’·‘넓적머리푸른고치벌’ 성공… 생물학적 방제 첫 단계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기생천적 가시고치벌 알(왼쪽)과 넙적머리푸른고치벌 알 (사진=국립수목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자연식물원2022/05/20
-
구상나무 식재 위치 DNA 분석으로 결정한다
국내 최초 유전적 배치 방법을 적용한 구상나무 보존원 조성 멸종위기 구상나무 현지외 보존원 조성 / 산림청 제공 산림청은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고유종인 구상나무의 멸종에 대비하고 자생지 복...
자연식물원2022/05/13
-
한국·노르웨이, ‘시드볼트’ 협력 강화 및 공동연구 추진
전 세계 식물유전자원 영구 보전 등 전세계 식물유전자원 백업저장 체계 강화 제15차 세계산림총회 부대행사에서 류광수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이사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제...
자연식물원2022/05/06
-
여름 더위, 숲으로 피신하자… ‘그늘막 효과’ 확인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숲에서 온도·미세먼지 저감 실험 진행 제주도 한남시험림 (사진=산림과학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숲이 여름 더위와 미세먼지 노출을 줄이는 피난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자연식물원2022/04/29
-
“산불피해지 조림 왜 하나?” 자연복원 효과 더 커
환경연합·생명다양성재단, ‘대형산불 기후재난 막기 위한 생태적 숲관리 전환 모색’ 자연복원 20년 증거: 1996 고성산불 자연복원 연구지역 (자료출처=‘대형산불 기후재난을 막기 위한 생태적 숲관리 전환 모색’ ...
자연식물원2022/04/22
-
1년에 한 번… 멸종위기종 ‘새우난초’ 세종수목원서 개화
희귀특산전시온실서 만날 수 있어 희귀특산전시온실에 활짝 핀 금새우난초 (사진=국립세종수목원 제공) 1년에 한 번 만날 수 있는 멸종위기종 ‘새우난초’가 국립세종수목원 희귀특산전시온실에서 개화해 ...
자연식물원2022/04/15
-
전국 도로 ‘일본산 벚나무류’, 한국특산종으로 갱신 요구돼
전국 도로 ‘일본산 벚나무류’, 한국특산종으로 갱신 요구돼 여의서로에 심긴 일본 원산 소메이요시노벚나무, 제주도 봉개동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한국특산 왕벚나무 (사진=왕벚프로젝트2050 제공) [환경과...
자연식물원2022/04/08
-
식목일, 그리고 왕벚나무와 목련
[녹색시선] 밤과 낮의 길이가 같다는 춘분(春分)이 지났다. 서양에서는 춘분이 지나면 본격적으로 봄이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이는 우리나라도 다르지 않다. 며칠 전에는 강원도와 경기도에 눈이 내리기도...
자연식물원2022/04/05
-
동백나무 새로운 가치 발견… ‘벌꿀’ 생산 가능
산림과학원, 꿀벌 화밀 섭식 모습 포착 ‘남부지역 특화 꿀’ 육성 기대 동백나무에서 화밀을 채취하는 모습 (사진=국립산림과학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동백나무 꽃에서도 꿀 생산이 가...
자연식물원2022/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