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산불피해지 조림 왜 하나?” 자연복원 효과 더 커
“산불피해지 조림 왜 하나?” 자연복원 효과 더 커
자연식물원2022-04-22

환경연합·생명다양성재단, ‘대형산불 기후재난 막기 위한 생태적 숲관리 전환 모색’

1.jpg
자연복원 20년 증거: 1996 고성산불 자연복원 연구지역 (자료출처=‘대형산불 기후재난을 막기 위한 생태적 숲관리 전환 모색’ 토론회 자료집)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산불피해지에 대한 자연복원이 인공조림보다 산불 저항성이 높고 복원 속도와 질적인 측면에서 더 우수하다는 연구 결과가 공유됐다.

환경운동연합과 생명다양성재단은 지난 18일 ‘대형산불 기후재난을 막기 위한 생태적 숲관리 전환 모색 – 지난 25년의 경험과 교훈’을 주제로 온라인 토론회를 개최했다.

안숙희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국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서는 ▲정연숙 강원대학교 교수가 ‘대형산불 막기 위해 숲 관리 패러다임 변화해야: 20년간 자연복원의 교훈’ ▲홍석환 부산대학교 교수가 ‘숲은 누가 만드는가?: 산불과 숲의 재생을 위한 변론’에 대한 발제와 지정토론이 진행됐다.

지정토론자로는 ▲최진우 서울환경운동연합 생태도시전문위원(좌장) ▲남준기 내일신문 기자▲김산하 생명다양성재단 사무국장 ▲최창용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장시원 경북 울진군 군의원 ▲임재민 에너지전환포럼 사무국장이 참석했다.

국내에서 산불 논쟁이 본격화한 것은 지난 1996년 강원도 고성군 일대 산림 3834ha를 태운 산불에서부터 시작된다. 당시 화재로 49세대 14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총 227억여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이후 2000년 동해안에서 또 대형산불이 발생하면서 민관학연 9개 분야, 19개팀, 176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동해안산불피해지 공동조사단’ 결성돼 전체 피해지역 2만3794ha를 조사하고, 복원체계도 및 매뉴얼이 만들어졌다.

20여 년이 지나 당시 산불 피해지역에 대한 ‘자연복원’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인데, 이러한 실증 연구결과와 산불피해 근본 원인 파악, 피해자 구제는 외면한 채 ‘인공조림’과 임도·헬기 추가 등에 천문학적인 예산을 재투입하겠다는 정부(산림청) 대응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연숙 교수에 따르면 자연복원이 인공조림보다 산불 저항성이 높고 복원 속도와 질적인 측면에서 더 우수하다. 더구나 조림 사업은 필요성, 타당성, 성공 가능성은 낮은 반면, 심각한 폐해를 일으켜 인공조림이 산불 대책으로 제시되는 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조림 필요성으로 제시되는 녹화, 목재·송이 생산에 대해서는 자연복원지가 인공조림지보다 더 복원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20년 관찰조사를 통해 확인됐으며, 토양이 불량해 경제성 있는 목재 생산이 어렵고, 인공조림으로 송이를 복원한 사례는 전무해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것이 정 교수의 설명이다.

자연복원 효과는 실제 숲을 통해 확인된다. 산림청이 1996년 고성산불 자연복원 연구지역으로 지정한 곳의 숲을 들여다보면 숲의 높이는 10~13m에 이르며, 큰키나무층이 발달하고, 피도가 30~70%에 도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제일 큰 나무는 굴참나무로 직경 22.5㎝ 수준으로 자라는 등 숲의 건강성을 회복한 것이 확인됐다.

정 교수는 2000년 동해안산불 영구조사지역은 수관화(전부 피해) 지역 중 산불발생 당년 초기재생정도를 상, 중, 하로 구분해 20년간 장기생태연구를 진행했다. 초기재생정도가 좋았던 곳의 숲의 높이가 시간에 따라서 더 발달했는데, 20년 후 큰키나무 10m, 피도 25% 정도로 복원됐다.

이곳의 지표화(하부 피해) 지역은 소나무림, 수관화 지역 초기재생정도 상, 중, 하 모두 참나무 숲으로 바뀌었다. 20년 된 시점에는 참나무와 소나무 혼합림을 이루고 있다. 산불 전 숲이 좋았던 곳은 복원이 잘 되고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던 곳은 재생량도 동일하다. 초기재생이 잘 되는 곳과 안 되는 곳 상관없이 95.5%는 산불 전에 있던 나무로부터 재생이 됐다. 총 233종 중 81.1%가 움싹으로 재생, 19%만 종자재생종이다.

산불피해지 인공조림 시에는 ▲움싹 제거, 임도 건설, 중장비 투입에 따른 심각한 토양침식 ▲대면적 소나무 조림으로 대형산불 발생 가능성 초래 ▲육림 부실로 인한 토양 훼손 및 예산낭비 등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는 근거를 조목조목 제시했다.

강원도 영동지역 산불피해지에서 자연복원지와 인공조림지를 비교했을 때, 자연복원지 기저면적이 더 넓고 토양 A층, 유기물함량, 낙엽층 깊이와 양도 자연복원지가 더 우수하다. 자연복원지와 인공조림지 유역의 2002년 태풍 루사 후 토사 침식과 영양염류 유실 비교 결과 자연복원지와 비교했을 때 인공조림지에서 2000배 많은 토사가 쏟아져 내렸으며, 질소 1379배, 인 1679배 유실된 것으로 조사됐다.

정 교수에 따르면 어린 소나무림은 키는 작고 밀도가 매우 높아서 산불 확산이 용이하다. 실제 2000년 동해안산불피해지공동조사단 조사에서 침엽수림이 70%로 높은 비율 차지, 고도 낮은 곳에 어린 소나무림이 넓게 연속 분포했으며, 산림피해 면적 2/3 이상이 30년 이하 유령림이었다. 산불 피해도는 소나무림, 혼합림, 활엽수림 순으로 나타났고 고도가 낮은 곳, 어린 숲의 피해가 크게 나타났다. 산불복원력은 반대로 활엽수림, 혼합림, 소나무림 순이며, 고도가 높은 곳, 노령림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 피해 정도는 고성, 강릉, 동해, 삼척 순으로 소나무숲 분포면적과 비례했다.

산불피해지역에 대한 자연복원 효과가 인공조림보다 높고, 소나무림의 산불 피해 정도가 더 크다는 것이 실제 통계로 확인된다. 점차 숲의 형태가 활엽수림과 혼효림으로 바뀌는 것은 생태적으로 안정을 이루는 숲이 되는 천이 과정인데, 산림청은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인위적인 소나무림을 유지해온 것이다.

정연숙 교수는 “우리나라 현재 숲에 남은 조림지는 전체 산림의 15%뿐이다. 대부분 연료전환과 농산촌 인구의 도시 이주로 숲의 이용이 감소해서 자연복원된 숲이다. 2015년 산림청 발표 자료를 보면 산림면적의 93%가 50년 이하 유령림이며, 침엽수림 39%, 활엽수림 33%, 혼합림 28%로 구성된다. 1960년대 당시 녹화사업은 최선의 노력을 한 것이 맞지만, 실제 결과는 연료전환과 도시산업화로 인한 자연복원이란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대형산불은 현재의 숲 구조로도 계속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숲 관리 패러다임이 변화해야 할 때다. 조림 신화로부터 벗어나 자연 숲은 인간의 시각으로도 공익이 큰 ‘생태계’라는 인식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며 “사람에 의해 산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주력하고, 특히 토양침식이 되지 않도록 보전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외 정 교수는 ▲응급 및 사방복구 대상지 외 자연복원 원칙 ▲자연복원력 높은 사유림 중 산주의 비용부담 의사가 있을 경우 인공조림 허용 ▲국공유림 중 생산임지는 5~7년 후 토양안정화 시기 후 인공조림 ▲인공조림 대상지라도 소나무 조림 지양 ▲자연복원력 낮은 곳은 멀칭 같은 생태사업으로 토사침식 저감 등을 산불 피해지역 복원 정책으로 제안했다.

 

2.jpg
산불 전 구조 및 산불피해정도의 반영
3.jpg
강원도 영동지역 과거 산불피해지에서 자연복원지와 인공조림지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4.jpg
숲의 유형에 따른 산불 피해 비교
5.jpg
숲의 유형에 따른 산불 복원력 비교

 

출처 :  환경과조경 이형주 (jeremy2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