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원
제 3식물원의 일정 면적(400 ㎡)에 통나무를 재료로 하여 4개의 큰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이 위에 산과 들에서 아무렇게나 접할 수 있는 야생 식물들을 모아 심은 후 자연 상태에서의 분포는 어느 한 종의 우점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시기적인 간섭이 필요하였다.
비비추, 둥굴레, 윤판나물, 은방울꽃, 용담, 고사리, 족도리풀, 등이 있고. 광선 요구도가 큰 식물은 벌개미취, 산괴불주머니, 산국, 감국, 구절초, 제비붓꽃 등이 있다


●국명
망초
●과명
| Asteraceae (국화과) |
●학명
|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


●국명
우산나물
●과명
| Asteraceae (국화과) |
●학명
| 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 |


●국명
석잠풀
●과명
| Lamiaceae (꿀풀과) |
●학명
| Stachys japonica Miq. |


●국명
두릅나무
●과명
| Araliaceae (두릅나무과) |
●학명
| Aralia elata (Miq.) Seem. |



●국명
참나리
●과명
| Liliaceae (백합과) |
●학명
| Lilium lancifolium Thunb. |


●국명
풀솜대
●과명
| Liliaceae (백합과) |
●학명
| Smilacina japonica A.Gary |


●국명
바위취
●과명
| Saxifragaceae (범의귀과) |
●학명
| Saxifraga stolonifera Meerb. |


●국명
범부채
●과명
| Iridaceae (붓꽃과) |
●학명
| Belamcanda chinensis (L.) DC. |


●국명
삼백초
●과명
| Saururaceae (삼백초과) |
●학명
|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


●국명
모란
●과명
| Paeoniaceae (작약과) |
●학명
|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


●국명
오이풀
●과명
| Rosaceae (장미과) |
●학명
| Sanguisorba officinalis L. |
